CI/CD
![[Github] Github Actions로 CI/CD 개발 주기 자동화하기 - 2 (스프링 Gradle 빌드 + 도커 푸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b8xL%2FbtrI9m0n55f%2FpK0lSj2cKOnzMoQrluZ9d1%2Fimg.png)
[Github] Github Actions로 CI/CD 개발 주기 자동화하기 - 2 (스프링 Gradle 빌드 + 도커 푸시)
서버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띄울까 하다가 여러 방식을 찾아보았는데 개발 서버와 운영 서버를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돈없는 가난한 대학생은 여러 서버를 띄울 형편이 안되니... 로컬에서 테스트 코드까지 빡세게 돌린 것들만 하나의 운영 서버에 띄우기로 결심했다 고로 프론트엔드, 백엔드, 배포 레포지토리 3개로 나누었고 아키텍쳐는 다음과 같다 📚 서비스 아키텍쳐 아직 프론트는 건들지 않아서 백엔드 서버와 배포 단계만 진행중이다 backend/main 브랜치에 push가 일어나면 깃헙 액션을 통해 스프링 도커 이미지를 빌드해 도커 허브에 push 한다 이후 deploy/main 브랜치에 push가 일어나거나, 직접 action 을 실행시키면 배포 쉘 스크립트 및 docker-compose를 통해 배포가 ..